철권 기초 정보


전체 0~9
447
벽을 등진채 447 을 입력해 벽을 타서 점프 공격을 날리는 것을 말한다. 손발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공격이 발동되는 점이 특이사항.
가불기
가드 불능 기술의 준말. 각 캐릭터별로 가불기가 하나 씩은 있다. 효과음과 함께 온몸에서 이펙트가 터지므로 금방 알 수 있다.
공참각
666 입력 기술의 별칭. 손 기술이면 공참손. 발기술이면 공참각이라고 부른다. 무릎기술의 경우는 공참니(Knee).
굽팔
드라그노프의 기술. '단편'처럼 회피 후 공격을 날리는 것은 동일하지만, 이쪽은 적중 시 공중콤보로 이어지는 강력한 기술. 물론 그 댓가로 막히면 자신이 뜬다.
귀살
6RP 커맨드의 준과 아스카의 중단 콤보 시동기. 리치가 상당한 시동기여서 유명했지만 철권8에서는 다른 캐릭터에게도 리치가 긴 기술들이 많아졌고 귀살 리치가 줄어들어서 예전만한 위용은 없다.
기어
기상 어퍼의 줄임말.
기원
카즈야의 기술 3RP 기원권에서 유래. 중단 펀치 기술이며 카운터시 상대가 스턴되어 앞으로 쓰러지는 기술을 ~기원 식으로 부른다. (예: 라기원)
기판치기
손으로 내리치는 기술이 오락실에서 기판을 내려치는 듯한 모션이라해서 붙은 별칭. 펭의 기판치기가 대표적이다.
나락
풍신 스텝에서 나가는 하단 돌려차기 6n23RK 기술. 원래 풍신류 캐릭들의 해당 기술을 일컬었지만, 비슷하게 넘어뜨리는 하단 기술을 통칭한다. 발이 아닌 손으로 쓰는 경우 손나락이라고도 한다.
나살문
철권 3 노멀 진의 46RP LP RP 나살문에서 따온 이름. 철권8에서는 데빌진이 가지고 있다. 나찰문(羅刹門)을 오역한 단어인데 오역한 단어가 더 널리 쓰인다. 좌우를 번갈아가며 3연속으로 지르는 손기술에 붙인다. (예: 곰살문) 브라이언의 경우는 막타가 발기술임에도 불구하고 브살문이라고 한다.
낙법
상대방에게 맞은 다음 몸이 땅에 닿는 순간 버튼을 누르거나 레버를 조종해 바로 움직이는 행위. 빠른낙법, 후방낙법, 구르기 등 여러 선택지가 있다.
낙캣
낙법하는 상대의 움직임을 캐치해 추가타를 입히는 행위. 몇몇 기술은 맞은뒤 특정 낙법을 하는 경우 확정으로 맞게 되므로 주의해야한다.
노딜
딜레이 캐치가 없다는 의미. 기술 앞에 붙여서 부르기도 한다. (예: 노딜 어퍼)
단편
46LP 펭의 기술에서 유래. 뒤로 몸을 빼서 회피 후 다시 앞으로 돌아와 단타성 기술을 날리는 회피기의 통칭.
더퍼
더블 어퍼의 줄임말. 손으로 두번 올려쳐서 띄우는 기술을 통칭한다. 카즈야의 더퍼는 13F 기술로 매우 강력한 콤보 시동기라서 유명하다.
덤블링
대부분의 여성 캐릭터의 경우 87을 입력하면 뒤로 백덤블링을 한다. 공중 판정이므로 하단 공격을 피할 수 있다.
데스
나나 상대가 계급이 오르거나 떨어질 때까지 연속적으로 리매치를 하는 문화. 철권8에서는 리매치 횟수에 제한이 있어 더이상 불가능하다.
도발
대미지 판정이 없이 특정 모션만 취하는 기술을 말한다. 단 브라이언의 도발은 대미지가 0인 공격판정이 있는 특이한 도발이다.
도젯
도발 제트어퍼의 준말. 브라이언의 도발은 다른 캐릭터와 달리 가드 불능 히트 판정이 있어 상대의 방어를 강제로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46RP 제트어퍼를 입력해 가드할 수 없는 콤보 시동기를 먹일 수 있다.
동줍
동전줍기의 준말. 아스카의 하단 기술에서 유래했다. 땅에서 동전을 줍는 것 같다고 해서 붙여진 별칭.
뒤잡
손의 방향을 뜻하는 왼잡, 오잡과 달리 상대의 뒷편에서 잡기를 한 경우를 말한다. 뒤잡은 잡기 커맨드와 무관하게 동일한 잡기 모션을 가지며 통상 잡기대미지(35~40)보다 높은 50 대미지를 입힌다.
딜캐
딜레이 캐치의 줄임말. 콩글리시로 실제 영어식 표기는 Punish를 쓴다. 상대가 내뻗은 기술의 회수 프레임 시간동안 내 공격이 히트하는 것을 말한다.
레드
레이지드라이브의 준말. 철권7에 있던 시스템으로 레이지 상태에서 레이지아츠와 레이지드라이브 중 하나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었다. 철권 8에서는 히트 대시가 그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에 사라졌다.
레아
레이지아츠(Rage Art)의 줄임말. 레이지 상태에서 3AP 를 누르면 발동하는 1회용 기술.
레이지
체력이 30% 미만(43)이 되면 체력게이지가 불타오르며 대미지가 10% 증가하는 분노 상태. 철권 8에서는 모든 가드대미지가 1로 줄어드는 혜택도 추가되었다.
로하이
Low-High. 하단을 때린 후 상단을 때리는 2타 기술의 통칭. 캐릭터마다 강제가드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기 때문에 기술의 공통성은 판정 말고는 없다. 따라서 성능도 천차만별.
마신
카즈야의 기술인 기상 RP 마신권을 일컫는 말. 비슷하게 기상 중단 손기술로 상대를 스턴시키는 기술을 지칭할때도 쓴다. 기원권과 모션이 비슷하나 이 쪽은 노멀 히트도 스턴이 된다.
몸지랄
제자리에서 손발을 마구휘두르는 모션의 기술을 지칭한다. 카즈야의 몸지랄(마신열충권, 흉격굉추권), 펭의 지랄권(선풍연추), 쿠마의 곰지랄(드럼 롤)이 유명하다. 단, 에디의 지랄은 원래 기술명이 지라르(Girar)로 몸지랄이 아니라 제자리 덤블링을 한다.
무엘
무릎으로 때리고 팔꿈치(Elbow)로 때리는 기술을 말한다. 한국어와 영어의 혼종 단어.
무족
원래의 풍신스텝인 6n23 대신 더 빠른 6n3 입력을 말한다. 이 커맨드로 입력한 초풍은 '무족초'라고한다. 원래는 카즈야의 전용 특성이었으나 철권8에서는 모든 풍신류 캐릭터가 사용가능해졌다.
바운드
상대의 몸을 바닥에 내리쳐 튕겨오르는 상태를 말한다. 철권6나 철권태그2 시절에는 콤보 시스템 중 하나였다.
박면장
펭 웨이의 4LP 기술로 10프레임 발동의 기술. 정면으로 손바닥을 뻗어 카운터시 상대를 다운 시킨다.
반격기
받아친 뒤 고정된 공격 모션을 날리는 기술을 반격기라고 한다. 공격이 아니라 단순히 프레임 이득만 가져오는 경우는 반격 대신 패링이라는 용어를 쓴다.
반시계횡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도는 횡신. 1P 라면 2n , 2P 라면 8n 으로 돌 수 있다. 영어로는 SSR(Side Step to Right) 이라고 한다.
밥상
밥상뒤집기에서 밥상만 따온 것. 기가스나 머독이 가지고 있던 상단을 회피하며 아래에서 위로 양손을 밀쳐 올리는 기술을 말한다.
백두산펀치
전작의 백두산이 사용하던 기술. 철권7과 8에서는 화랑이 사용한다. 횡으로 회피하면서 정권 지르기 자세를 취하는 기술. 가공할 성능의 회피 성능으로 악명이 높다. 막히면 -14F. 원래 기술명은 스텔스 니들이다.
백원만
폴의 기상어퍼. 자세가 용돈 달라는 자세처럼 보인다해서 붙은 별핑.
벽꽝
상대가 벽에 부딪혀 스턴이 되어 흘러내리는 모든 상황. 벽꽝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므로 벽꽝 설명 페이지를 참고할 것.
벽력장
폴 피닉스의 대표 기술 #2. 2RK RP AP 벽력장은 하단 기술이므로 중단 기술인 붕권과 섞어 쓰면 상대는 중단과 하단 가드 하나를 찍어야하는 강력한 이지선다가 된다.
벽잡
벽꽝된 상대에게 가능한 잡기 공격이며 리리, 킹 등이 사용가능한 기술. 원래는 벽콤 대신에 사용하는 기술이나 특이하게 드라그노프는 토네이도가 남은 상태라면 벽잡기를 하고도 벽콤을 추가로 넣을 수 있다.
보라단
계급장이 자줏빛인 Tekken King ~ Tekken Emperor 계급 구간을 의미. 색상으로는 '의자단'이 보라색이고 이 구간은 자주색이지만 의자단이 나중에 생긴 탓에 의자단만 색상으로 불리지 않는다.
불과자
화랑의 로하이 2RK RK 기술명인 Firecracker를 왈도식으로 번역해 불과자(Fire + Cracker)가 되었다. Firecracker는 원래 폭죽이라는 의미다.
붕권
폴 피닉스의 대표 기술 #1. 236RP 붕권은 '오아~' 라는 기합소리로 유명하다.
비풍
6n23 풍신권 기술이 없는 캐릭터를 일컫는 말
빠세이
헤이하치를 대표하는 1RP 하단 기술. 발동시 외치는 소리가 빠세이로 들려 빠세이로 불린다. 원래 발음은 다리를 때린다는 의미의 '아시(足)'.
뺑글이
철권8에서 추가된 공중 콤보 중 타수와 무관하게 빙빙 돌면서 같은 거리로 날아가게 하는 기술. 원래 공중 콤보는 타수가 늘수록 떨어지는 속도와 멀어지는 거리가 늘어나지만, 예외적으로 타수와 무관하게 추가타를 넣을 수 있게 만들어주는 기술이다.
뻥발
태권도 앞차기처럼 발을 앞으로 쭉 내미는 기술의 별칭.
삼색잡기
세 가지 종류의 잡기라는 의미. 캐릭터의 잡기 기술 중에 푸는 손이 왼손, 오른손, 양손이 다 필요하도록 잡기 기술이 다양한 경우 삼색잡기가 있는 캐릭터라고 한다.
샤이닝
킹의 양손 커잡. 달려와서 왼손으로 풀어야하는 자이언트 스윙과 양손으로 풀어야하는 샤이닝 이지는 킹 유저의 기본 소양이다.
선생님저요
니나의 횡 오른손으로 발동하는 콤보 시동기. 움직임이 수업시간에 손 드는 것 같다해서 붙여진 별명.
섬광
LP LP RP 섬광열권의 축약어에서 유래. 10프레임 발동에 벽꽝이 되는 연타 기술을 의미한다. 원원투라고도 한다.
섬머
스트리트 파이터의 가일(Guile) 기술인 섬머솔트킥에서 유래한 단어. 공중으로 회전하며 상대를 띄우는 기술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로우가 쓰는 기술이며, 리리와 안나도 비슷한 모션의 기술이 있다.
손나락
상대를 넘어뜨리는 손으로 하는 하단 공격을 말한다. 풍신류 캐릭터가 6n23RK로 발동하는 나락쓸기(奈落払い)라는 발기술이 상대를 넘어뜨린다는 이유로 손기술+나락으로 만들어진 단어. 따라서 발나락이라는 단어는 없다.
수면차기
LK~RK 로 입력하는 아스카의 느린 하단 콤보 시동기에서 유래한 명칭. 다리로 바닥을 쓸듯이하며 한 바퀴 도는 기술을 칭한다. 원래 기술명은 수면가라앉히기(水面澄まし).
숫자단
철권8에서는 없어진 계급. 1st Dan 부터 2nd Dan 까지 숫자로 표현되던 계급 구간.
쉐캔
실각 자세와 횡캔을 이용한 니나의 압박 전술. 횡LP 셰이크 샷이라는 기술을 내밀고 바로 4를 입력하면 후딜이 취소되며 실각 자세로 들어가는데 이 때 다시 또 빠르게 횡을 쳐서 횡LP 를 입력하면 상당히 빠른 속도로 중단 기술을 연발하여 상대의 행동을 묶을 수 있다.
슈날
로우가 사용하는 날아차기.
슈돌
슈퍼 돌려차기의 줄임말로 화랑의 기술 오른자세 LK~RK. 파워크러시 기술인데다 확정타까지해서 58 대미지가 들어가는 강력한 기술이라 유명하다. 정식명은 롤링 라이트 킥.
슈퍼맨
원래 명칭은 플라잉 크로스 촙. 3발자국 이상 달리거나 앞 구르기 기상 중에 AP 를 누르면 나간다.
스네이크
'스네이크 에지'라는 브라이언의 기술 중 하나로 에델바이스, 수면차기 등과 함께 유명한 하단 콤보 시동기. 모두 발동이 느려서 동체시력이 좋은 플레이어는 보고 막는다. 스네이크를 못 막는 경우 철권계에서 은퇴해야한다는 밈이 있다.
스프링킥
누워있는 상태에서 AK 를 눌러 덤블링하듯 날아올라 양발로 차는 기술. 가까이서 막히면 뜬다.
슬라
슬라이딩의 준말. 슬라이딩 하듯 지면을 따라 몸을 날려 공격하는 하단 기술의 총칭.
시계횡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도는 횡신. 1P 라면 8n , 2P 라면 2n 으로 돌 수 있다. 영어로는 SSL(Side Step to Left) 이라고 한다.
신달킥
신라의 달밤 킥. 카즈야의 6n23LK 기술을 일컫는 말이다. 신라의 달밤이라는 영화에서 차승원이 날리던 킥과 유사한 모션이라 붙은 이름. 슈날이라 불리는 슈퍼날아차기는 로우의 기술이다.
신삼단
하나의 연속기로 3대를 때리는 기술 중 대표적인 기술을 삼단이라고 하는데, 한 캐릭이 삼단 기술이 2개를 가지고 있다면 나중에 생긴 기술을 신삼단이라고 부른다.
쌍장
양손을 앞으로 길게 내미는 발동이 빠른 단타성 기술을 말한다. 헤이하치나 니나의 쌍장이 유명하다. 다만 아스카의 경우는 발동도 느리고 콤보로 이어지는 특이한 속성의 쌍장이라 압경이라는 자체 기술명으로 불린다.
악마발
데빌진, 카즈야 같은 악마가 써서 그런게 아니라 성능이 악마같이 좋아서 이름이 붙은 하단 기술의 통칭. 대미지도 적당히 높으면서 적중 시 이득프레임도 큰 기술들. 로우나 샤힌, 안나의 발기술이 유명하다. 손기술인 경우 악마손이라고도 하며 반대로 성능이 안좋은 기술들은 천사손, 천사발이라는 조롱성 명칭을 쓴다.
어퍼
3LP 또는 3RP의 별칭. 둘을 구분하기 위해 왼어퍼, 오른어퍼라고 한다. 캐릭마다 성능이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왼어퍼는 13F 중단 견제 기술, 오른어퍼는 15F 콤보 시동기인 경우가 많다.
연깎
드라그노프의 샤프너라는 기술명에서 유래. 샤프너 > 연필깎기 > 연깎. 상단 회피 성능을 갖는 하단 기술을 의미한다.
연잡
연속잡기의 준말. 킹이나 니나 같은 몇몇 캐릭터는 잡기를 연속으로 쓸 수 있다. 하나하나가 다 별도의 잡기 기술이므로 매 잡기마다 푸는 기회가 주어진다.
오리발
커맨드 목록에 없지만 3RK 에 고유 기술이 없는 캐릭터인 경우 발동되는 중단 공통 발기술. 약한 단타성 기술이지만 그만큼 후딜은 짧고 생각보다 긴 리치로 견제나 막타용으로 애용되는 경우가 많다.
오찌
노멀진의 6n23RP 오른손찌르기 기술에서 유래한 명칭. 풍신권과 달리 상대를 앞으로 날려서 콤보를 이어간다.
용성
레이 우롱의 기술로 6nLP RP LP RP 로 나가는 전진성 중단 연타 기술. 오리걸음을 하며 전진하는 특유의 모션이 인상적이다.
우종
종(踵, 발꿈치)떨구기라는 발꿈치로 내리찍는 기술에서 유래한 말로, 오른발로 쓰는 경우 우종이라고 줄여서 부른다. 왼발인 경우 좌종.
원투
LP RP 의 별칭. 서양에서는 기본 표기법이다. 원투쓰리는 LP RP LK 를, 원투포는 LP RP RK 를 표현하는데 사용한다. 투쓰리는 당연히 RP LK
웨이브
6n23 입력시 숙이면서 전진하는 특유의 모션을 말한다. 풍신스텝이 정식 표기지만 마치 물결치듯한다해서 웨이브(Wave)라고 부른다.
윈드밀
에디의 기술 윈드밀에서 유래. 비보잉에서 보는 그 움직임이 맞다. 레이븐이나 럭키 같은 캐릭의 비슷한 기술도 윈드밀로 부르며 럭키의 경우는 럭드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의자단
계급장의 배경에 의자가 그려져있는 Mighty Ruler ~ Battle Ruler 의 계급 구간. 색상으로는 '의자단'이 보라색이고 '보라단'은 자주색이지만 의자단이 나중에 생긴 탓에 의자단만 색상으로 불리지 않는다.
자운
하단 회피 성능을 갖는 2연타 콤보 시동기. 준, 아스카, 진이 가지고 있는 기술이다. 특히 준, 아스카의 자운은 점프 기술이면서도 하단 판정이어서 악명이 높다. 철권8 부터는 흘리기도 안되게 바뀌면서 더욱 강력해졌다.
자이언트
자이언트 스윙의 약어. 641236LP 라는 복잡한 커맨드로 나가는 킹의 커잡(커맨드 잡기). 벽 앞에서의 절륜한 대미지도 대미지지만 모션이 양손잡기인데도 왼손으로 풀어야하는 예외라서 유명하다.
잡풀
잡기를 푸는 행위. 잡기 기술이 적중한 경우 20프레임(전작의 경우 14프레임) 이내에 특정한 손 버튼(LP, RP, AP)을 누르면 가능하다. 다만 카운터시에 잡히면 3프레임 이내에 눌러야하고, 딜캐로 잡히면 풀기가 불가능하다. 대체로 오른잡기의 경우 잡풀이 성공시 자리가 바뀐다. 대부분의 잡기 기술은 상단기술이며 몇몇 캐릭터만 가지고 있는 중단잡기는 잡풀이 불가능하다.
절판
절대판정의 줄임말. 프레임 이득이 매우 커서 상대가 가드 이외에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정축
상대와 내가 바라보는 방향의 각도가 180도(상대와 내가 서로 바라보는 방향)인 경우를 정축이라고 한다. 항상 서로 마주보는 2D 게임과 달리 3D 게임의 특징으로 축이 틀어지면 콤보나 추가타가 빗나가기도 한다. 정축이 아닌 경우 '축이 틀어졌다'라고 표현한다.
좌종
종(踵, 발꿈치)떨구기라는 기술에서 유래한 말로, 왼발로 쓰는 경우 좌종이라고 줄여서 부른다. 오른발인 경우 우종.
준마찰
노멀 진의 4RP LP 에서 유래. 양횡을 준호밍기 순으로 잡고, 판정이 낮아 퍼올리는 성능이 뛰어난 중중 판정의 손기술을 말한다. 이름에 '준'이 붙어있지만 카자마 준과는 상관이 없다. 비슷한 기술을 가진 경우 ~마찰 같이 사용한다. (예: 라마찰)
중립가드
캐릭터를 아무 조작도 하고 있지 않은 상태. 가만히 둔 상태에서는 중상단 기술의 1타는 자동으로 가드된다. 하지만 1타를 이미 맞았거나 이후 기술이 강제가드가 아닌 경우에는 중립가드가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4 를 입력해 가드를 땡겨야한다.
진군
폴의 LK RP 기술에서 유래했다. 중단 발기술 다음 상단 손기술로 연결되는 2타 상단 기술을 진군이라고 표현한다.
짠발
2RK 로 나가는 단타성 킥. 짠손과 비슷하지만 리치와 대미지가 조금 더 길다. 철권8에서는 막히면 뜰 정도로 후딜이 높아져서 절대 남발은 금물이다.
짠손
1LP2LP 로 나가는 앉은자세 10프레임 단타성 펀치. 짜잘한 손기술이라는 의미. 상단 회피에 빠른 발동으로 많은 기술을 먼저 때려 상대방의 움직임을 끊는데 사용된다. 성능은 좋지만 특수중단 판정이므로 흘려진다.
철산고
버추어파이터의 아키라가 쓰는 기술에서 유래된 이름. 몸통으로 강하게 밀치는 기술의 별칭. ~산고 형태로 많이 불린다. 안나의 경우는 특이하게 엉덩이로 밀치다보니 엉산고로도 불린다. 안산고라고하면 아머킹의 암산고와 발음이 비슷해 혼동할 수 있기도 하고. 펭의 경우는 펭산고가 아닌 원래 기술명인 악촌고라고 부른다.
철찌
철권하는 찌질이의 줄임말. 철권 유저들이 자학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단어. 중단을 STOP이 아니라 MIDDLE로 생각한다면 당신도 철찌.
초풍
풍신권 6n23RP 커맨드 중 3과 RP를 정확히 같은 프레임에 입력하면 나가는 강화된 기술. 왼쪽의 예시에서는 1번째에 푸른 번개가 같이 나가는 기술이 초풍이다. 2번째에 보이는 기본 풍신권에 비해 후딜, 대미지, 가드백 등 온갖 속성이 강화된다.
추돌
데빌진의 기상 RP 기술. 공중 콤보로 이어지는 고성능의 기술.
카운터
한 쪽이 기술을 내미는 동안 다른 쪽의 기술을 맞는 경우 카운터 판정이라고 한다. 카운터시 기술의 대미지가 20% 증가하며 어떤 기술은 후속 효과가 달라지기도 한다.
커잡
커맨드 잡기의 줄임말. AL 이나 AR 같은 기본 잡기가 아닌 잡기를 일컫는다. 아무 손이나 누르면 풀리는 기본 잡기와 달리 정해진 손(왼손, 오른손, 양손)을 눌러야만 잡기를 풀 수 있다.
컷킥
점프킥 류 기술의 별칭. 대개 9RK9LK 커맨드이며 콤보 시동기인 경우가 많다. 영어로는 Hop kick 이라고 한다.
태클
66 유지 커맨드로 달리기를 4발자국 이상하면 몸통으로 밀치는 숄더 태클이 발동한다. 하단까지 무시하는 강화파워크러시에 횡도 추적하므로 가드하는 것이 상책. 이와 별개로 드라그노프, 폴, 아스카 등 제자리에서 상대를 덮치는 얼티킷 태클 기술을 가진 캐릭터들이 있다.
토네이도
철권8에서 추가된 상대가 높이 튀어올라 콤보를 넣기 쉬워지는 시스템. 공중 콤보 중 단 1번만 가능하다. 철권6에서는 바운드, 철권7에서는 스크류라는 시스템이었다.
토킥
상대방이 발쪽으로 있는 다운 상태에서 2RK 를 누르면 나가는 견제기술. 막히면 뜨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발동 후에는 자동으로 일어선다.
통발
진이 가지고 있는 전진성 손 기술 66RP. 통'발'이지만 발 기술이 아니다. 원래 기술명은 동발(胴抜き, 내장뽑기)이지만 오역이 널리 쓰는 상황. 비슷한 성능을 갖는 다른 캐릭터의 기술을 이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통천포
줄리아 창의 LP LP LP 기술에서 따왔다. 쿠마와 라스도 비슷한 기술이 있어 통천포라고 그대로 불린다.
퇴쇄
다리를 쎄게 걷어차는 로우킥. 카즈야의 기술명에서 유래했다. 기술명은 대부 파라는 의미.
특수중단
중단이지만 앉아서 막을 수 있다. 대개 앉아도 닿는 투사체나 광선류의 기술이 대체로 특수중단 판정을 갖는다.
특수하단
하단이지만 서서 막을 수 있다. 하단 패링(흘리기)가 가능하다.
파크
파워크러시의 준말. 상대의 상중단 공격을 맞아도 취소되지 않는 공격을 의미. 대개 7프레임부터 파워크러시 판정이 나온다. 잡기나 하단 공격, 히트 관련 기술은 받아낼 수 없다. 공격을 받아내고 발동하는 경우 상대가 가드해도 가드 대미지를 입힌다. 파워크래시는 잘못된 표기.
패링
상대의 공격을 흘려버리고 압도적인 프레임 이득을 가져오는 기술을 말한다. 단 3 을 입력해 하단 기술을 패링하는 것은 '흘리기'라고 한다.
풍신류
6n23RP 커맨드로 초풍을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를 묶어 풍신류라고 부른다. 초풍은 없지만 풍신 스텝과 6n23 커맨드가 있는 캐릭터는 반풍, 풍신 스텝도 없는 캐릭터는 비풍이라고 부른다.
프레임
동작 애니메이션의 시간 단위. 60분의 1초를 의미한다.
플힐
플라잉 힐의 줄임말. 브라이언의 9RK 기술에서 유래한 살짝 점프(Flying)해서 발꿈치(Heel)로 내려치는 콤보 시동기를 말한다. 발동이 조금 느리지만 점프 기술이어서 하단을 회피하며 대개 딜캐가 없다. 샤힌(크레센트 클리브), 리로이(등공락부), 라스(스톰힐)도 비슷한 모션과 성능의 기술을 가지고 있다.
하돌
하단 돌려차기의 줄임말.
하체트
브라이언의 기술로 도끼차기라는 의미의 해칫 킥(Hatchet Kick)을 일본어로 표기했을 때의 발음에서 유래. 비슷한 기술을 ~체트 라는 식으로 부른다. (예: 드체트)
홀드
버튼을 떼지않고 길게 누르는 행위. 홀드 하는 동안 대미지가 높아지거나 가드 불능이 되거나 하는 기술들이 일부 존재한다.
황금단
계급장이 황금빛인 Tekken God ~ Tekken God Supreme 계급 구간을 의미한다. God of Destruction 까지 묶어서 말하는 경우도 있다.
횡보
2n2 유지나 8n8 유지 커맨드 입력으로 지속적인 횡이동을 하는 움직임. 이 때 손이나 발을 누르면 2, 8 입력은 무시되고 중립레버 상태의 커맨드로 취급된다.
횡신
2n8n 커맨드 입력으로 살짝 횡이동을 하는 움직임.
횡캔
앉기나 특수 자세로 강제 파생되는 기술을 횡신으로 빠르게 캔슬하기 위한 방법. 기술이 파생되자마자 8n을 입력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2n은 횡신이 아니라 앉기가 되므로 사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1P 방향과 2P 방향이 횡캔이 가능한 상황이 달라진다.
후소퇴
레이 우롱의 기술로 상단 회피 성능이 있고 카운터시 콤보가 가능한 하단 기술. 비슷한 성능을 갖는 다른 캐릭터(빅터 등)의 기술을 이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흘리기
상대의 하단 공격에 맞춰 3 을 입력해 공격을 흘려버리는 것을 말한다. 패링과 같은 의미지만 하단 흘리기는 유독 별도로 취급된다. 영어로는 Low Parry 라고 한다.